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8. 느린 학습자의 공부 –박찬선 지음-

728x90

#느린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독해지도법

=기본적인 주의력 훈련+끊어서 읽기를 통한 의미이해+ 소리내어 읽기와 눈으로 읽기 등

#순차적으로 시선이동하기-시선추적 능력+시각적 주의집중력 향상 초점

-소리내어 책 읽기,, 글을 차례로 눈으로 읽으면서 특정 글자 찾기,, 차례로 기호 그려 넣기

#끊어읽기-여러개의 낱말이 모여서 하나의 의미를 이룬다는 것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글을 읽을 때 하나의 의미 단위로 끊어서 읽는 것-청컹(chunking) 의미단위로 글을 끊어서 읽게 되면 글에 대한 이해력 좋아짐. 읽기 전에 끊어야 할지 표시하기, 자연스러운 쉼 할 수 있도록 반복해서 읽기 연습하기

#소리내어 읽기와 눈으로 읽기-글자읽기 배우고나서 책의 내용을 이해하는 독해능력 발달시키는 과정은 소리내어 읽는 단계에서 눈으로 읽는 단계 발달한다.

1단계
유아~초등1학년
읽기 배우는 단계 읽기 초보자 남의 소리내어 읽어주기 동기유발
초보적 읽기이해 발달
2단계
초등1~3학년
도움받아서 읽는 단계 읽기 연습자 스스로 소리내어 읽기 읽기 유창성 발달, 낱말 의미 관심
3단계
초등4학년 이후
혼자서 독립적으로 읽는 단계 읽기 능숙자 스스로 눈으로 읽기 내용을 머릿속에 그리기, 내용이해하기

 

#소리내어 읽기의 유형

-짝읽기= 함께 소리내어 읽기-혼자 읽기-함께 읽기-혼자 읽기

-합창읽기-선생님과 학생이 동시에 소리내어 읽는 방법

-반복읽기-읽기자료를 말 그대로 반복해서 읽는 방법(읽기 유창성+독해력 동시향상, 낱말 50~200개가 있는 페이지 3~4번 반복하기)

-번갈아 읽기-부모 혹은 다른 학생들과 번갈아 가면서 읽는 방법

#어휘력과 배경지식

-어휘력지도-필수어휘 정해놓고 지도하기-카드에 써서 강조하기

-문법적 어휘 지도하기-접속사, 형용사, 부사, 조사 같은 문장의 뜻 분명하게 만들어 주는 기초어휘

-접속사: 그리고, 그래서, 그러나, 하지만 등

-형용사: 따뜻한, 분명한, 행복한, 차가운, 예쁜 등

-부사: 부디, 다만, 오직, 매우, 가장 등

-조사: ~에서, ~의 등

배경지식-책을 읽고 내용을 이해하는 과정에 관심을 두게 하려면 관련된 경험이나 배경지식이 있어야 한다. 연관된 경험이나 배경지식이 장기기억 속에 있어야 한다. (*직접경험-길을 찾아가는 방법, 표를 예매하는 방법, 경험하는 그 장소의 역사적 의미 등)

# 설명글 이해와 이야기글 이해

설명글:어떤 것에 대하여 읽는 사람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쓰인 글

이야기글: 독자가 마치 자신의 경험한 것처럼 느끼고 즐길 수 있도록 쓰인 글

설명글 이해 이야기글이해-스토리그래머 구성요소
-글쓴이가 주로 말하고 싶은 것은 무엇에 관한 것인지?
-무엇을 이전에 해본 경험이 있는지?
-글을 통해서 알아야 할 것은 무엇인가?
<김밥 만드는 글을 읽고 나서>
-글은 무엇을 만드는 방법에 관한 설명하고 있는가?
-집에서 김밥 만드는 것을 본 적이 있는가?
-우리집에서 어떤 재료들을 준비하나?
-김 위에 제일 먼저 올리는 재료는 무엇?
-글에서 설명하는 내용과 우리집에서 김밥 만드는 과정은 어떻게 다른가?
-시간적 배경-언제 벌어진 일인가?
-공간적 배경-어디에서 있었던 일인가?
-등장인물 소개-누가나오는가?
-사건의 시작-무슨일 때문에 벌어진 일인가? 원인이 무엇인가?
-전개-일이 어떻게 진행되었나?
-결말-그래서 벌어진 일의 끝은 어떻게 되었나?
-대단원-마지막에 주인공들은 어떻게 되었나?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