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말.언어 이야기

언어장애아동의 부모교육의 길잡이 엄마도 할 수 있어요 !!

728x90

 

이번 달부터 무발화 아동치료를 시작하면서 부모상담 및 교육자료를 찾다가 좋은 책을 알게 되었다. ^^ 도서관에 있으니 궁금하신 분들을 대출받아서 읽어보시길 추천해요 

1장 변화시키기- 아이의 학습을 돕기 위해서

변화를 일으키기 위한 아동과의 관계형성 방법

- 부모가 도와주기만 하면; 부모가 너무 자주 도와주면 아동은 학습할 기회를 놓치게 된다

- 부모가 너무 서두르면; 부모가 너무 서두르면 아동의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이야기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없게 된다.

- 부모가 교사처럼 행동하면; 아동은 할 일을 지시받았을 때가 아니라 직접 행동을 해 봄으로써 더 잘 배우게 된다.

- 부모가 쉬고 싶을 때; 아동이 부모와 함께 하기를 원할 때 부모가 너무 자주 쉬게 된다면 함께 놀아주고 학습시킬 수 있는 가장 좋은 시간을 놓치게 된다.

- 부모가 아동에게 잘 맞추어 줄 때; 부모는 아동에 대해 알 수 있는 시간을 갖게 되며 아동의 경험을 함께 나누게 된다. 이 때 아동은 자신이 인정받고 있으며 자신이 특별한 사람이라는 느낌을 갖게 된다. 아동의 자아인식이 향상되며 학습에 대해서도 눈을 뜨게 된다.

아동에게 잘 맞춰주는 부모의 3a 방법으로 하루를 보내게 된다.

3a방법이란...

* 아동이 이끄는 대로 따르기

* 순간 공유에 적응하기

* 새로운 경험과 말을 첨가하기

 

2장 아동이 이끄는 대로 따르기?? 다음과 같은 시간을 갖는 것을 말한다.

* 관찰하기-아동의 관심을 가지는 것과 느끼는 것에 대해 관찰하기

* 아동이 쳐다보는 것을 관심 있게 주목하여라

* 아동의 얼굴표정을 지켜보아라

* 아동의 몸짓을 관찰하여라

 

기다리기-아동이 무엇을 할 것인지 기다리기

기리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부모가 하나부터 열까지 마음속으로 세어야 할 때도 있다.

청취하기-아동이 말하려는 것에 대해 청취하기

부모가 아동의 마음을 알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청취하는 것이다. 부모가 혼자서만 말하면 아동의 말을 잘 들을 수가 없다.

관찰하기, 기다리기, 청취하기 세 가지는 매우 중요하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