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말.언어 이야기

1. 메타인지 학습법- 생각하는 부모가 생각하는 아이를 만든다. -리사 손 지음-

728x90

메타인지=자기 거울, 자기가 자신을 아는 것 그리고 자신의 생각을 들여다보는 것이다.

자신의 기억, 느낌, 지각하는 모든 것을 완벽하게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다.

메타인지의 전략의 핵심, 모니터링과 컨트롤 능력

1950~1970- 감각, 지각, 학습, 기억, 언어 등 인지 분야를 구성하는 요소 각각 연구와 메타인지 중요성 연구/ 1980- 메타인지 과학분야 시작

인지-감각, 지각, 학습, 기억, 언어 등 의미

메타인지-자신이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 파악하는 것

 

모니터링 전략-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의 질과 양에 대한 평가를 스스로 하는 과정

컨트롤 전략-자신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 후 학습 방향을 설정하는 과정

메타인지 주체는 아이 자신- 메타인지는 현재 나의 인지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능력

자신이 무엇을 어려워하는지 알아야 함과 동시에 모를 수도 있다 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부모가 자녀의 메타인지 근육을 키워준다는 명목으로 아이의 인지를 자신들이 판단하고 결정한다. 아이가 자기 스스로 메타인지를 키울 수 있는 기회를 빼앗는 셈이다.

학습화된 세 가지 착각으로 인해 자녀에게 잘못된 기대를 하는 경우가 많으며 메타인지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

착각1, 빠른 길이 좋다고 생각한다.

착각2, 쉬운 길이 좋다고 생각한다.

착각3, 실패 없는 길이 좋다고 생각한다.

아이들이 무언가를 배우는 것보다 배우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메타인지의 기술이다. 메타인지는 평생 키워나가야 하는 것이며 학생보다 성인에게 더 필요한 능력이다. 어린 시절부터 문제해결법을 탐색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