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인지를 방해하는 두 번째 착각-쉬운 길이 좋다고 생각한다.
1. 장기목표를 이루게 하는 단기적 행동 전략
단기기억-몇 초에서 몇 시간 정도의 경험이나 정보를 유지하는 기억
장기기억-한계없이 평생 지속되는 기억
2. ‘맥락’을 이해하며 메타인지가 보인다.
우리가 모르게 포함되는 ‘맥락’ 즉 사건과 물건이 서로 관련되어 이어져 있는 관계 전체가 기억되기 때문이다. 어떤 것을 학습할 때 배우고자 하는 내용과 맥락을 함께 나누면 나중에 그 내용을 기억해내고 싶을 때 맥락이 그것을 떠올리게 도와준다.
3.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
장기기억 학습법과 관련된 개념 중엔 가변성 이란 것이 있다. 가변성이란 다양한 맥락으로 구성된 학습 환경 뜻한다. 가변성을 전이-적합 처리 이론과 결부시켜 생각하면 다양한 맥락으로 구성된 학습 환경에 기반을 두면 학습한 내용을 오랫동안 잘 기억할 수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인간을 머릿속에 저장된 기억을 꺼내기 위해 단서라는 것을 사용한다.
학습한 내용을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기억하려면 맥락과 단서의 가변성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조용한 환경이 아이의 기억을 방해한다.- 아이의 기억력을 높이고 싶다면 평소에도 가변성 있는 상황을 경험하거나 다양한 단서를 사용하는 훈련이 이뤄져야 한다. 조용한 환경이 아이의 집중도를 높인다고 생각하는 부모가 많은데 오히려 그런 환경이 아이의 기억을 방해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4. 자신이 잘 배우고 있다고 아주 위험한 착각
일방적인 강의는 오히려 학생들의 메타인지를 착각하게 만들 가능성이 높다. 학습한 정보를 온전히 나의 것으로 만드는 과정- 수업이 끝난 후 수업 내용을 복기해보라고 하면 제대로 기억하지 못한다. 말을 하는 맥락(선생님)과 수업을 듣기만 하는 맥락(학생) 이 서로 다르고 학습 내용에 대한 전이-적합 처리 또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결과다. 새로 배운 지식을 장기 기억에 저장하려면 학생은 반드시 수업 내용을 스스로 생각하고 토론하고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5. 벼락치기vs분산 학습
통합적 사고를 기르는 학습 방식은 따로 있다. 아이의 진정한 메타인지 능력은 단순계산이 아닌 문제 해결력 즉 문제 해결에 필요한 방법을 생각해 내는 힘으로 판단돼야 한다. 벼락치기보다 분산 학습이 좋으니 매일 몇 분씩이라고 공부하라고 그러게 하면 시험 전날 벼락치기를 할 필요 없으며 오랫동안 기억할 수도 있다.
6. 좋은 성취가 좋은 머리를 이긴다.
아이의 성격과 성향에 따라 학습 방법의 효율성이 다를 수 있다는 사실이다. 아이를 양육할 때 부모가 선택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아이의 생각과 성향을 무시하고 다수의 부모가 선택한 길을 따르는 것이다.
아이의 적성을 찾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아이에게 많은 경험을 선사하는 것이다. 자기가 무엇을 좋아하고 싫어하는지 어떤 것에 몰입하고 높은 집중력을 보이는지 등은 직접 경험해보지 않으면 알 수 없다. 문제는 아이의 성적과 부모의 불안감이다. 공부 외의 다양한 경험이 아이의 성적을 올려주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 아이들에게 공부 말고 너무도 많은 길이 있다. 그리고 다양한 성취를 경험한 아이는 결국 학습에서도 좋은 결과를 얻어낸다. 좋은 성취가 좋은 머리를 이기는 셈이다.
7. 무엇이 우리 아이의 메타인지를 가로막는가?
아이들이 공부가 힘들다고 착각하는 이유는 경쟁에서 뒤처지면 안 된다는 생각 때문이다. 다른 사람들은 막힘없이 앞으로 나아가는데 나는 왜 잘하지 못할까? 같은 비교가 스스로를 힘들게 만든다. 어느 정도의 스트레스와 긴장은 분명 학습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스트레스에 매몰되어 중요한 학습 목표를 잊어버리는 것은 큰 문제다. 너무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는 것도 문제다. 아이들이 질문을 할 수 있는 용기를 줄 사람은 부모밖에 없다 아이의 학습 긴장과 스트레스를 읽어내주고 보살펴주면 충분히 잘하고 있다고 느려도 괜찮다고 너의 생각은 무엇이냐고 끊임없이 부모가 이야기하면 성적이라는 목표 지향과 타인의 시선에서 우리 아이들도 어느 정도 자유로워질 수 있지 않을까 한다.
'말.언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메타인지 학습법- 생각하는 부모가 생각하는 아이를 만든다. -리사 손 지음 (1) | 2025.04.26 |
---|---|
4. 메타인지 학습법- 생각하는 부모가 생각하는 아이를 만든다. -리사 손 지음 (0) | 2025.04.25 |
2. 메타인지 학습법- 생각하는 부모가 생각하는 아이를 만든다. -리사 손 지음 (1) | 2025.04.23 |
1. 메타인지 학습법- 생각하는 부모가 생각하는 아이를 만든다. -리사 손 지음- (1) | 2025.04.22 |
9. 느린 학습자의 공부 –박찬선 지음- (0)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