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 시 부모가 잘못 양육해서 자녀가 늦다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전달하기
-아이들이 보내는 신호를 무시하게 된다면 학습의 어려움 겪게 되는 것 물론 대인관계에서도 어려움 보일 것이다.
#신호- 부산한 행동 자주 한다.. 집중력 부족, 언어발달 느림, 한글과 수개념 배우기 어려움, 신체 움직임이 또래와 매우 다르다고 생각된다, 좌우구분 못한다. 멀고 가까움 구분 못한다. 힘조절 하지 못한다, 자가기 하고 싶은 말만 한다, 자세가 나쁘다, 공부에 대한 의욕이 없다, 주의를 줘도 달라지지 않는다, 집단활동하지 못한다, 다른 사람과 대화를 활발하게 하지 못한다, 자기가 하기 싫은 일을 안 하려고 고집을 피운다, 그 자리에서 대응하지 못한다, 수세기나 계산을 배워도 잘하지 못한다.
#인지능력=지각하고 주의 기울이고 기억하는 등 정신활동
-학령기에 접어든 아이들은 학습하게 되면서 인지능력 중요성 더 커진다.
-낮은 인지능력+학습 지체=또래와의 격차 심해지고 가정이나 학교 지역사회에서 적응하기 어려워진다.
*지능지수는 또래들과 비교점수일 뿐 지능지수가 낮음은 또래와의 인지능력 격차가 더 커졌음을 의미하며 지능이 나빠졌다는 뜻이 아니다.
#전체지능=언어성 지능, 동작성 지능, 언어이해, 지각추론, 주의집중, 처리속도 (공통성, 어휘, 이해, 상식, 단어추리, 토막짜기, 공통그림, 행력추리, 빠진 곳 찾기, 숫자, 순차연결, 산수, 기호쓰기, 동형찾기, 선택...)
;경계성 지능=추상적, 개념적, 사고의 어려움
;학습장애=추상적, 개념적 사고에서 강점이 나타남.
경계선 지능의 인지적 특징 | 학습장애의 인지적 특성 |
-시각적 주의지속;오래보는 힘이 부족하다, 짧은 시각적 주의지속능력은 대화 할때도 걸림돌이 된다. -청각적 주의지속:오래듣기 어렵다. 오래 듣지 못하니 누군가의 앞부분만 들었을 가능성 있다. -표상; 머릿속에 이미지를 그려보고 상황이나 장면을 떠올릴 수 있다. 어떤 상황+장면 사람들 표정 등 이야기가 머릿속에 입력되어 표상형성 되는 것 머릿속 표상을 만들 수 있는 사람은 어떻나 설명도 이해할 수 있고 자신이 경험한 것을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다. 스스로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다. -기억하기 어렵다. -생각하지 어렵다. -머릿속에서 퍼즐조각 맞추기 하는 것 같다. |
-방향이나 위치지각의 혼란-주의력과 관련된 문제, 중심축, 중심점부터 가르치기 -순서에 대한 기억이 어렵다;학습상황이나 일상생활 속에서 매우 중요하다. 종이접기 순서, 순서에 맞게 그림배열, 재미있는 이야기 순서맞게 나열, 계산해야하는 수학문제풀이 =첫글자 외우기, 이미지 사용하는 등 자기 전략 만들기 -시각적 탐색 능력이나 순차적 주의와 같은 시각적 주의능력 -동시에 여러 가지 대상을 다루지 못한다.동시처리적 정보 처리 어려움 |
'말.언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느린 학습자의 공부 –박찬선 지음- (2) | 2025.04.05 |
---|---|
1. 느린 학습자의 공부 –박찬선 지음- (0) | 2025.04.01 |
언어장애아동의 부모교육의 길잡이 엄마도 할 수 있어요 !! (0) | 2025.03.31 |
언어장애아동의 부모교육의 길잡이 엄마도 할 수 있어요 !! (0) | 2025.03.28 |
화용언어, 사회성, 치료관련 도서 목록 및 추천해요!! (1)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