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부록- 의사소통 목표를 위한 참고 자료
1. 동작모방
장난감 없이 모방하기 | 손뼉치기/ 신발, 발 만지기/ 머리 흔들기/두 팔 올리기/바닥 만지기/입 벌리기/이빨로 아랫입술 닿기/입 다물고 바람넣기/주먹쥐기/ 까꿍하기/손가락 가리키기/머리 만지기/일어서기/하품하기/혀 내밀기/손등에 뽀뽀하기/높이뛰기/ 손 흔들기 |
장난감과 일상용품으로 모방하기 | 차 밀기/인형 재우기/인형 모자 씌우기/실로폰 치기/숟가락으로 젓기/소리나는 태엽감기/이닦기/먹기/우는 인형 안어주기/색연필 크레파스 등으로 그리기/큰 컵안에 작은 컵 넣기/인형 잡아당기기/머리 빗기/마시기/상자 안에 들어가고 나오기/책상 위로 아래로 가기/종이 구기기, 찢기/ 열쇠로 문 잠그고 열기/ 공 굴리기, 던지기/컵에 블록 한 개 넣기/초인종 누르기/ 북 치기/책장 넘기기/비행기 날리기/블록 무너뜨리기/트럭에 블록 싣고 쏟어버리기/불 끄고 켜기/신발신기/베개 베고 자기/서랍 지갑 열고 닫기/책상 위로 아래로 가기/코 눈물 닦기/종이팩 쌓기 |
2. 동작모방을 소리 모방으로 전이
-와~와 입을 벌리고 손으로 두드린다
-빠이 빠이 손을 흔든다
-조롱하는 소리 입술 사이로 혀를 빠르게 움직인다
-짝짝 손뼉을 친다
-빠~방(차소리) 자동차를 민다
-쉬 입술에 한 손가락을 갖다 댄다
-꾹 눈을 크게 뜬다
-아 장난감을 떨어뜨린다.
3. 소리 모방
-불기; 비누거품, 촛불, 깃털 등
-입술로 뽀뽀하기-뽀뽀하 후 쪽 소리 내기
-우는 소리-약간 숨찬 소리 모방
-재채기 혹은 기침하기-얼굴을 약간 일그러트린 후 소리 내기
-동물 울음소리-개(멍멍), 고양이(야옹야옹) 소(음~머) 말(히히힝) 닭(꼬꼬댁) 벌(윙윙) 오리(꽥꽥) 돼지 (꿀꿀)
4. 초기 한 낱말 단어(수용언어와 표현언어)
명사 | 먹는것 | 사과, 빵, 고기, 우유, 주스, 바나나, 물, 과자, 사탕, 아이스크림, 밥, 포도 |
신체부위 | 머리, 눈, 손, 귀, 코, 입, 발 | |
일상용품 | 의자, 빗, 연필, 텔레비전, 책상, 가위, 비누, 돈, 수건, 전화, 칫솔, 종이, 컵, 접시, 숟가락, 안경, 시계, | |
입는 것 | 양말, 바지, 치마, 옷, 외투, 신발, 모자 | |
집 밖에 있는 것 | 나무, 꽃, 달, 해, 눈, 비, 개, 차, 버스, 고양이, 비행기, 자전거, 학교 | |
장난감 | 버스, 트럭, 공, 블록, 말, 기차, 배, 책 | |
인물 | 엄마, 아빠, 친구, 형제자매 이름, 애완동물, 아가, 아동이름, 선생님, 할머니, 할아버지 | |
동사 | 가, 줘, 차(공), 나가, 울어, 버려, 벗어, 밀어, 빗어, 넘어져, 와, 사(물건), 쳐(손뼉) 꺼내, 웃어, 불어, 가져, 굴려, 읽어, 만들어, 해, 타, 쉬, 넣어, 잡아, 걸어, 마셔, 날아가, 뽀뽀해, 빼, 자, 앉아, 놀아, 들어, 먹어, 던져, 불어, 내려와, 떨어져, 봐, 써(글씨), 닦아(이), 고쳐, 때려, 입어, 씻어, 찾아, 올라가, 흔들어 | |
형용사와 부사 | 뜨거워, 더, 크다, 차가워, 예뻐, 없다, 작은, 아파, 많이, 있다. 미워, 같다, 더워, 추워 | |
위치 | 여기, 밖에, 안에, 저기, 위에, 아래 | |
사회성 언어 | 싫어, 안녕, 빠이빠이, 미안해, 아니야, 예, 고마워, 좋아 |
5. 두 낱말 구
행위자+행위 | 아가 울어, 아빠 어부바, 엄마 타, 아빠 줘, 아가 쉬, 멍멍이 자 |
목적+행위 | 빵 줘, 우유 줘, 쉬 했다, 말 타, 밥 먹어, 불 켜, 문 열어 |
행위자+목적 | 엄마 밥, 맘마 빨리, 아빠 밥, 엄마 안녕 |
장소+행위 | 오토바이 타, 버스 가, 배 타, 여기 앉아 |
행위자+장소 | 아빠 회사, 엄마 시장 |
장소-실체 | 저기 새, 여기 사탕 |
소유자+소유 | 아빠 책, 엄마 꺼, 고모 꺼, 아가 손 |
실체-수식, 수식-실체 | 주사 아야, 큰 거, 고모 이뻐, 무서운 아찌 |
지시하는 실체 | 이거 구두, 이거 뭔데 |
공존-행위 | 언니 놀자, 엄마 자자 |
수여자-행위 | 아가 줄까?, 고모 안 줘, 아빠 안 줘 |
6. 세 낱말 구
행위자+목적+행위 | 아찌 흙 파, 아빠 텔레비 봐, 형아 말 타 |
행위자+장소+행위 | 아빠 회사 가, 오빠 학교 가, 엄마 이리 와, 아빠 저기 비켜 |
장소+목적+행위 | 집에 전화 해, 냉장고 사과 줘 |
행위자+공존자+행위 | 엄마야 같이 가, 아빠 같이 자 |
공존자+목적+행위 | 아기야 양말 찾아, 엄마 포도 먹자 |
공존자+장소+행위 | 아빠 요 가자, 언니 놀이터 가자 |
행위자+수여자+목적 | 엄마 아야 하나 |
수여자+목적+행위 | 엄마 물 줄까 |
7. 상위의 언어기술
과거(었) | 아빠 회사 갔어, 나 쉬 했다 |
미래(ㄹ) | 엄마 책 볼래, 나 밥 먹을 거야 |
대명사 | 나, 너, 우리, 이것, 저것, |
주격(가/이) | 아빠가 사줬어, 사람들이(가) 밀었어 |
진행(ㄴ, ㄴ 다) | 나 쉰다, 나 혼자 먹는다 |
주어(은/는) | 나는 해, 아빠는 못해 |
목적(을/를) | 뭐를, 그냥 먹어 귤을 |
무엇-누구-어디 | 이거 뭐야?, 이거 누구야?, 엄마 어디 가? |
왜-어떻게-언제 | 친구 왜 울어? 어떻게 먹어? 엄마 언제 가? |
728x90
'말.언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지도 –아얄라 마놀슨 외, 이화여자대학교 언어청각임상센터 (0) | 2025.05.05 |
---|---|
6.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지도 –아얄라 마놀슨 외, 이화여자대학교 언어청각임상센터 (0) | 2025.05.04 |
5.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지도 –아얄라 마놀슨 외, 이화여자대학교 언어청각임상센터 (0) | 2025.05.03 |
4.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지도 –아얄라 마놀슨 외, 이화여자대학교 언어청각임상센터 (0) | 2025.05.02 |
3.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지도 –아얄라 마놀슨 외, 이화여자대학교 언어청각임상센터- (0)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