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말.언어 이야기

DEP 조기중재 교육과정- 0~36개월 의사소통 본 자료는 부모나 교사가 쉽게 영아를 지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6개의 영역(대근육 운동기술, 소근육 운동기술, 의사소통, 사회정서, 인지, 기본생활) 중 의사소통부분만 정리한 내용이다. 4. DEP 조기 중재 교육 과정- 의사소통 월령 목표행동 0~3 개월 1-1. 자음소리를 낸다 1-2. 모음소리를 낸다. 1-3. 주양육자가 어떤 소리를 반복해 주면 비슷한 소리를 모방한다. 1-4. 짜증 낼 때 주양육자가 소리를 내거나 말을 하면 조용해진다. 1-5. 자신에게 말하거나 몸짓을 하고 있는 사람을 쳐다본다. 1-6. 주양육자의 목소리를 들려주면 미소를 짓는다. 4~6개월 2-1. 물체나 사람을 쳐다볼 때 소리를 낸다. 2-2. 주 양육자의 목소리를 들으면 울음을 그친다. 2-3. 놀면서 크게 웃는다. .. 더보기
의사소통보조SW- 나의 AAC 아동 앱 본 앱은 보완대체의사소통 AAC는 말과 그림이 함께 나오는 상징을 통해서 의사소통을 보완하거나 대체하는 도구이다. 구글플레이스토어와 앱스토어에서 무료로 다운이 가능하고 나의 AAC 기초, 아동, 일반 버전으로 장애정도에 따라 선택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도움말을 참고하시면 버전소개부터 말하기 사용 방법, 상징 폴더 편집 방법, 이야기 만들기 사용방법 등 제시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고 주변에 필요하신 분들을 위해 정보공유 부탁합니다. 더보기
유아용 의사소통 태도 검사 앱 - Kiddy CAT 아동의 의사소통 스트레스 체크앱을 소개합니다. 본 검사는 취학전 아동(일반아동, 장애 아동)의 의사소통에 대한 부담정도를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먼저 아이폰은 앱스토어에서 Kiddycat 검색/ 갤럭시에서 플레이스토어에서 Kiddycat 검색하여 설치하면 본화면이 나옵니다. 검사 안내 및 방법에 대한 안내문이 나옵니다. 검사 방법으로 제시되는 문항을 선생님 또는 부모님께서 아이에게 읽어주시고 아이의 대답을 체크 합니다. 총 문항은 연습 문항 1개와 본 문항 12개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검사시간은 5분 정도 소요 됩니다. 다음으로 아동의 성과 이름, 성별, 생년월일, 유치원, 검사자, 연락처를 기록한 후 검사를 실시 합니다. 검사가 끝나면 자동으로 검사결과가 나옵니다. ^^ 더보기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RT 중재 방법 다른 치료사들과 정보공유를 하면서 알게 된 RT중재법을 소개합니다. RT 란? 반응성 교수(Responsive Teaching) 약자로 아이의 흥미와 관심에 반응해주어서 아이의 주도성과 자신감을 키워주는 부모아이소통 레시피 라고 합니다. 현재 한국RT협회가 있고 아래에 제시한 RT교수법에 대한 정보를 이미지로 제시합니다. 요즘 일반 아동 뿐 아니라 자폐스펙트럼 장애 ASD(autism spectrum disorder) 아동들에게 중재법으로 사용한다고 하네요. 그리고 RT 발달중재사라는 자격증 정보도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 출처; http://rtkorea.org/html/ 한국RT협회 rtkorea.org 더보기
자폐스펙트럼 장애 진단 18개월 아동이 자폐스펙트럼 장애 ASD(autism spectrum disorder) 판정을 받았다. 대부분 만 3세쯤 되었을 때 판정을 하는 편인데... 궁금했다. 그동안 자폐와 관련된 데이터가 많이 쌓여서.. 아니면 무슨 이유일까? 최근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대한 진단 시기가 앞당겨졌다. 여러 가지 이유 중에 조기 진단 및 평가, 중재에 대한 효과의 보고가 많아지고 영유아기 때 좀 더 세심한 관찰과 평가가 중요하게 대두되었다. 가장 큰 변화는 진단 기준과 진단명의 변화이다. DSM-IV-TR(2000) ---> DSM-V(2013) DSM-IV-TR(2000)에서 전반적인 발달장애(PDD) 즉 자폐 장애, 소아기 붕괴성 장애, 아스퍼거 장애, 레트 장애, 달리 분류되지 않는 전반적인 발달 장애를 DS.. 더보기
K-CDI 한국아동발달검사 K-CDI(The Child Development Inventory) 한국아동 발달검사 ; 자녀의 행동에 대한 부모의 관찰을 토대로 작성되어지는 부모 보고식 검사이다. 개요 1) 생후 15개월~만6세 2) 총 300문항; 270문항 : 8발달영역- 사회성(35), 자조행동(38), 대근육운동(29), 소근육운동(30), 표현언어(50), 언어이해(50), 글자(23), 숫자(15)→30문항 : 현재 나타나는 아동의 증상과 문제 사회성(35) 개별적 상호작용 뿐 아니라 집단 참여 상호작용발달 자조행동(38) 먹기, 옷입기, 목욕하기, 화장실 가기, 독립심과 책임감 발달 대근육(29) 걷기, 뛰기, 오르기, 점프하기, 타기, 균형 잡기, 협응 능력 발달 소근육(30) 눈과 손의 협응 능력을 포함하여 물건을 .. 더보기

728x90